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건축계획4

[도서관] 도서출납시스템 자유개가식 : 이용자가 서가에서 자유롭게 자료를 찾고 열람. 안전개가식 :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지만 열람석으로 가기 전 관원의 검열을 받는 형식. 책의 내용파악 및 선택이 자유롭지만 서가의 정리가 잘 되지 않으면 열람자가 혼란스럽고, 책의 마모 및 파손이 심함. 폐가식 : 열람자가 책의 목록을 보고 책을 선택하여 관원에게 대출기록을 제출 후 대출받는 형식. 대출절차가 복잡하고 관원의 작업량이 많다. 반계가식 : 이용자가 직접 서고내의 서가에서 도서자료의 제목정도를 볼 수 있지만 내용을 열람할때 관원에게 대출을 요구해야 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신간서적 안내에 채택. 2020. 8. 6.
은행건축 은행실 - 은행의 주체를 이루는 곳. 고객대기실과 영업실로 나누어진다. 영업실 - 면적은 1인당 10m₂를 기준으로 한다. 금고실 - 고객대기실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둔다. 출입문 - 일반적으로 출입문은 안여닫이로 한다. 2020. 8. 6.
부엌의 평면형 [주택의 부엌가구 배치 유형] 일렬형 : 동선과 배치가 간단. 소규모 주택에 적합. but설비기구가 많은 경우에는 작업동선이 길어짐. 병렬형 : 일렬형에 비해 작업동선이 단축. but작업시 앞뒤로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 식당과 부엌이 개방되지 않고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기 필요한 경우에 많이 쓰임. ㄱ자형 : 작업동선이 효율적. but여유공간이 많이 남아 식사실과 함께 이용할 경우에 적합. ㄷ자형 : 병렬형과 ㄱ자형의 혼합형. 작업동선이 잛음. 부엌의 면적을 줄일 수 있음. but평면계획상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의 설치가 곤란. 2020. 8. 6.
Work Triangle : 부엌의 작업 삼각형 ▷ 주택의 부엌 계획에서 냉장고, 개수대, 조리대의 중간지점을 연결한 삼각형을 작업 삼각형(work triangle)이라고 한다. ▷ 3 변의 길이의 합이 3.6~6m일 때 가장 기능적이다. 2020.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