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꾸만 글쓰기39

사회 조직을 유지하는 힘 세포자살은 다세포생물이라는 사회조직을 유지하는 공권력이다.쓸모없는 세포가 제때 사라져주지 못하면 생명은 유지되기 힘들다. 자유라디칼 2025. 1. 20.
전자 배치 전자의 배치가 원자의 특성을 결정한다전자 배치가 유사한 리튬과 나트륨이 모두 물에 닿으면 격렬히 반응하고, 불소와 염소가 모두 독인 이유다. 우주의 모든 전자는 똑같다. 2025. 1. 20.
위상수학 위상수학에서 크기변화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과 같다. 구멍의 개수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떤 변형도 받아들이며 자유롭게 살아보는 것은 어떨까 2025. 1. 20.
인간적이다. 잔인하다는 것은인간적인 것이다. 2024. 6. 23.
평화 적과의 사이에서 만들어 내는 것이 평화이다. 2024. 6. 23.
진실은 관점의 문제 진실은 관점의 문제일 뿐이다. 2024. 6. 23.
낙관론자 낙관론자들은 정보에 어두운 사람들이다   - 바스테트의 母 - 2024. 5. 13.
가까울수록 크다 별은 아주아주 멀리있어 우리의 눈으로는 그저 빛나는 한 점에 그친다. 달은 드넓은 우주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들중에 아주아주 작은 천체에 속한다. 하지만 우리는 달을 볼때는 위상변화까지 맨눈으로 관측가능할 만큼 크게 보인다. 가까이 있을수록 크게 보여 변화가 눈에 띄고 달라짐이 크게 느껴진다. 이에 대한 영향도 많이 받는다. 마치 지구의 반의 반조차 안되는 크기의 달 때문에 밀물 썰물이 일어나는 것 처럼. 관심을 많이 가질수록, 나의 생활반경에 가까울 수록 크고 다채롭게 느껴진다. 멀수록 사람을 단편적으로 보며, 하나의 캐릭터처럼 성향을 부여하고 이에 맞춰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나에게 클 수록 다양하고 입체적인 면을 받아드리고 변화에 대해 잘 받아드릴수 있다. 2024. 1. 28.
취미 그동안엔 본업만 살기도 벅찼던 나는 별 취미가 없었다. 취미가 있어야 한다는 사람들 말에 인정은 하지만 그게 또 막 없으면 큰일나는 일은 아니라 그냥 그렇지 하고 지나갔다. 언젠가 취미를 갖게 된다면 무언가 미래에 도움이 되거나, 돈이 되거나 그런것들로 가지면 좋겠다고 막연하게 생각했던거 같다. 하지만 그건 취미가 아닌 그냥 또 다른 업을 찾는게 아닌가 결국 취미란 나한테 도움이 되어서 하는게 아닌 내 시간과 체력을 들여 쓸모 없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하고싶어지는 것이여야 하는거다. 심지어는 돈을 들여서 취미의 완성도 또는 재미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처음 취미를 골라야 한다는 생각에 들인 과정과는 아주 다르지만 처음 시작은 그래야 재미가 붙는다. 뭐라도 내가 하고싶은 무언가가 생긴다는건 인생을 살아가야.. 2023. 11. 7.
짠이의 행복 좋아하는 작가님의 만화에서 아이가 한 말 "어떤 행복은 다른사람한테도 행복을 주는데, 어떤 행복은 다른 사람의 행복을 빼앗아" "행복은 불행이랑 교대로 와" "불행을 쪼금 견디면 행복이 찾아오는거야" 다른사람마저 행복하게 만드는 행복과 다른 사람의 행복을 빼앗는 행복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 다른사람을 불행하게 만드는 행복도 진정한 행복인가? 다른사람이야 어쨌든 내가 행복하면 행복인가 이왕이면 나도 상대도 행복한 행복이 자주 찾아왔으면 좋겠다 2023. 10. 23.
그냥 끄적거리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8. 10.
행복할때 찾아오는 불안함 예전엔 때때로 아주 행복하다고 느낄때, 이 행복이 끝날까 불안할때가 있었다. 행복하지만 언젠가 끝날 행복이라 생각해서 불안감에 휩싸이는 일은, 말 그대로 복에 겨운 일이였던거지 요즘은 그런 불안을 느껴본지가 언젠지 그 불안이 진짜 불안했는지 나쁘지 않았는지 조차 기억이 나질 않는다. 그만큼 더 성숙해져 행복할때에 온전히 행복하고 그래서 불안을 느끼지 않는것이라면 좋겠것만 아무래도 그냥 그만큼의 행복을 느끼지 못해서 인것 같다. 요즘 그럴만한 일이 없는건지 아니면 행복에 대한 기준이 높아져 덜불행하고 덜 행복한 삶을 보내고 있는건지 분명 큰 불행과 행복을 겪을 바에야 나쁜일과 좋은일 둘다를 안겪는 쪽을 택하는 나였는데 그런 상황이 된것 같기도 하고. 그냥 모든일에 무뎌져 버렸나 싶기도 하고 매일 소소한 즐.. 2023.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