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설비12

[난방설비] 온수난방 온수난방 현열을 이용한 난방> 쾌감도가 높음. (증기난방에 비해) 난방부하에 따른 온도조절이 비교적 쉽다.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다. 운전정지중에 동결우려가 있다. 2020. 8. 17.
[급수관 설계] 대변기 세정방식에 따른 대변기의 종류 세정 벨브식(플러시 밸브식) : 대변기의 연속사용 가능. 소음이 크고 단시간에 다량의 물이 필요. 일반가정용으로는 사용이 곤란. 역류방지기(진공방지기)설치가 필요 하이 탱크식(시스턴식) : 바닥면적을 적게차지. 소음이 크고 물사용량이 적음. 물탱크높이1.9m 로우 탱크식(시스턴식) : 많은 면적을 차지. 소음이 작고 물사용량이 많음. 기압 탱크식 2020. 8. 17.
급수방식 [급수방식] -수도직결방식 :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적다. -고가수조방식(옥상탱크방식) : 급수공급 압력의 변화가 거의 없다. 하향 급수배관 방식을 사용 -압력수조방식(압력수조방식) : 압력탱크 내의 압력에 따라 수압이 변화 -탱크가 없는 부스터 방식 : 옥상 탱크가 필요 없고 수질오염의 위험 적음. 최상층의 수압을 크게 하지만 펌프의 단락이 잦음 2020. 8. 17.
트랩Trap의 봉수파괴 원인 [트랩의 봉수파괴원인] - 자기사이펀 작용 - 유인사이펀(흡인)작용 - 분출(토출) - 운동량에 의한 관성 - 모세관작용 - 증발현상 2020. 6. 3.
도시가스 시설기준 [도시가스 사용시설의 시설기준] - 가스배관은 누출 시 환시를 위해 매립하지 않고 노출배관으로 한다. -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는 60cm 이상의 거리를 둔다. - 지상 배관은 부식방지 도장 후 표면 색을 황색으로 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가스계량기는 보호 상자 안에 설치할 경우 직사광선이나 빗물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2020. 5. 27.
[전기설비] 강전설비, 약전설비 강전설비 : 대부분의 전기 배선 변전설비, 축전지 설비, 자가발전설비, 전동기, 전열설비, 조명설비 등 약전설비 : 전기공사 이외의 설비는 대부분 약전설비. 전역으로 구분한다. 전화설비, 인터폰 설비, 전기시계 설비, 안테나 설비, 방송설비, 신호표 시장 피, 정보통신설비 등 2020. 5. 19.
[승강운송설비]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 - 에스컬레이터의 바닥 디딤판을 스텝(Step)라고 하며, 스텝체인(Step Chain)에 의해 스텝이 주행된다. - 수송능력은 엘리베이터의 약 10배 정도 - 점유면적이 작고, 기계실은 필요 없다. - 경사도는 30º 이하로 한다. - 정격속도는 하강방향의 안전을 고려하여 30m/min 이하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020. 5. 18.
[소화설비]옥내 소화전 설비 설치기준 [옥내 소화전 설비 설치기준] - 옥내 소화전 방수구는 바닥면에서 높이 1.5m 이하 - 표준 방수압력 : 0.17 MPa - 표준 방수량 : 130 ℓ/min - 설치간격 : 건물의 각 부분에서 수평거리 25m 이하 - 소화 수량 : 2.6N(㎣) (N:최대 5개) - 송수구는 소방차의 접근이 쉽게 노출된 장소에 설치한다. 2020. 5. 18.
[난방설비] 보일러 [보일러의 종류] 주 철제 보일러 - 조립식. 용량 증가에 용이. 증기용 0.1 MPa이하. 온수용 수두 50m 이하. 노통 연관 보일러 - 부하 변동의 안전성. 급수 조절에 용이. 수처리가 간단. 가동시간이 길다. 수관 보일러 - 다량의 고압증기가 필요한 병원이나 호텔에서 사용. 지역난방의 대형 원심 냉동기의 구동을 위한 증기터빈으로 사용. 입형 보일러 - 수직으로 세운 드럼 내에 연관 또는 수관이 있는 소규모 패키지형. 규모가 작은 건물이나 일반 가정용 난방. 설치면적 작음. 취급 간단. 효율이 떨어지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2020. 5. 18.
[급탕설비] 복관식 급탕배관 급탕배관 ⊃ 단관식 , 복관식 [복관식 급탕배관] -온수의 냉각을 방지하여 바로 뜨거운 물을 사용 할 수 있다. -급탕관과 반탕관이 설치된다. -저탕조를 중심으로 회로배관을 형성한다. -배관방식이 간단하다. -급탕전을 열면 잛은 시간 내에 뜨거운 물을 얻을 수 있다. 2020. 5. 18.
[설비] 급탕설비 [급탕설비] 급탕보일러에서 팽창관의 도중에는 밸브를 설치해서는 안된다. 온수보일러에 의한 직접 가열방식은 가열식 저장탱크에 의한 간접가열 방식보다 보일러가 부식되기 쉽다. 저장탱크의 설계에 있어서 가열능력을 크게 취하면 저탕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고가수조의 최고수면보다 팽창관을 1.2m이상 놏게 올린 뒤에 고가수조의 상부에 연결하여야 팽창관으로 팽창수가 넘치지 않게 된다. 2020. 4. 20.
[설비] 공기조화설비 [공기조화 설비] 운반되는 열매체에 의한 분류 전 공기 방식 - 단일 덕트 방식, 2중 덕트 방식, 각층 유닛 방식 -실내오염이 적고 외기 냉방 가능 -덕트 스페이스가 커지고 팬 동력이 큼 전 수 방식 - 팬 코일 유닛 방식(FCU) -덕트 스페이스 필요 없음, 열 운반운동이 적음, 개별 제어가 용이 - 실내공기오염 문제가 발생 공기 ˙수 방식 - 유인 유닛 방식, 덕트 병용 팬 코일 방식 -수동으로 각 실의 온도를 쉽게 제어 2020.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