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16 건축기사 구조역학문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8. 30. 건축기사 실기문제 2019년 4회 건축기사 실기 가답안 (2019.12.20) 2020. 8. 30. [건축법] 주요구조부 주요구조부 : 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주계단 주요구조부에 속하지 않는 것 : 비 내력벽, 사이기둥, 최하층 바닥, 작은 보, 차양, 옥외계단 2020. 7. 28. [방수공사] 안방수 바깥방수 안방수와 바깥방수의 주요 항목 비교 안방수 바깥방수 사용환경 수압이 작고 얕은 지하실 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실 바탕만들기 따로 만들 필요 없음 따로 만들어야 함 공사의 용이성 간단하다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공사 추진 자유롭다 본공사에 선행된다 경제성 저가이다 고가이다 보호누름 필요하다 없어도 무방하다 2020. 7. 20. 플라이애쉬 FlyAsh 플라이애쉬 Fly Ash 콘크리트 혼화재 워커빌리티(콘크리트 시공성)을 개선 건조수축이 적어진다 수화열이 낮아진다 초기강도가 감소되지만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https://lagomland.tistory.com/37 [시멘트] 혼화재와 혼화제의 차이 혼화재 : 시멘트 사용량의 5% 이상 사용한 대체재료 ex) 플라이애시(Fly Ash), 고로슬래그, 실리카 혼화제 : 시멘트 사용량의 1%미만으로 사용. 시멘트의 성질 개선을 위해 사용한다. ex) AE제, 응결경�� lagomland.tistory.com 2020. 7. 20. 커튼 월 공사 커튼월공사 상당부분을 공장제작. 현장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높은곳에서 양중기를 사용. 비계작업이 필요없다. 커튼월부재의 간결방식으로는 슬라이드, 회전, 고정 방식이 있다. 2020. 6. 30. 트랩Trap의 봉수파괴 원인 [트랩의 봉수파괴원인] - 자기사이펀 작용 - 유인사이펀(흡인)작용 - 분출(토출) - 운동량에 의한 관성 - 모세관작용 - 증발현상 2020. 6. 3. 도시가스 시설기준 [도시가스 사용시설의 시설기준] - 가스배관은 누출 시 환시를 위해 매립하지 않고 노출배관으로 한다. -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는 60cm 이상의 거리를 둔다. - 지상 배관은 부식방지 도장 후 표면 색을 황색으로 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가스계량기는 보호 상자 안에 설치할 경우 직사광선이나 빗물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2020. 5. 27. 건축공사의 도급계약서 기재 내용 [도급계약서의 기재 내용] 1. 공사도급금액, 공사금액 지불방법 및 지불시기 2. 공사기간 : 공사 착수시기, 완공시기 3. 설계변경, 공사중지의 경우 도급액 변경 및 손해 부담에 대한 사항, 천재지변에 의한 손해 부담 4. 건물인도 검사방법 및 인도시기 5. 계약자의 이행 지연, 채무불이행, 분쟁해결방법, 지체보상금, 위약금에 관한 사항 6. 공사 시공으로 인해 제3자가 입은 손해 부담에 관한 사항 7. 공사기간에 따른 도급금액 변동에 관한 사항 및 기타 사항 2020. 5. 17. [공정관리] PERT-CPM공정표 에서 EST와 EFT EST : 작업을 시작하는 가장 빠른 개시시각 (Earliest Starting Time) EFT : 작업을 끝낼 수 있는 가장 빠른 종료시각 (Earliest Finishing Time) - 선행작업이 없는 첫 작업의 EST는 프로젝트의 개시시간과 동일하다. - 어느 작업의 EFT는 그 작업의 EST에 소요일수를 더하여 구한다. - 복수의 작업에 종속되는 작업의 EST는 선행작업 중 EFT의 최댓값으로 한다. 2020. 5. 13. Slurry Wall 슬러리월 슬러리 월 (지하 연속벽 공법) 지수벽, 구조체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지하로 크고 깊은 트렌치를 굴착하여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panel판넬을 연속으로 축조해 나가는 공법. - 벽체의 강성 및 차수성이 크다.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지반조건에 좌우되지 않는다. 지하수가 많아도 가능하다. - 통상적인 흙막이 공사에 비해 공사비가 고가이다. - 깊은 기초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2020. 4. 25. [설비] 급탕설비 [급탕설비] 급탕보일러에서 팽창관의 도중에는 밸브를 설치해서는 안된다. 온수보일러에 의한 직접 가열방식은 가열식 저장탱크에 의한 간접가열 방식보다 보일러가 부식되기 쉽다. 저장탱크의 설계에 있어서 가열능력을 크게 취하면 저탕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고가수조의 최고수면보다 팽창관을 1.2m이상 놏게 올린 뒤에 고가수조의 상부에 연결하여야 팽창관으로 팽창수가 넘치지 않게 된다. 2020. 4.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