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54

플라이애쉬 FlyAsh 플라이애쉬 Fly Ash 콘크리트 혼화재 워커빌리티(콘크리트 시공성)을 개선 건조수축이 적어진다 수화열이 낮아진다 초기강도가 감소되지만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https://lagomland.tistory.com/37 [시멘트] 혼화재와 혼화제의 차이 혼화재 : 시멘트 사용량의 5% 이상 사용한 대체재료 ex) 플라이애시(Fly Ash), 고로슬래그, 실리카 혼화제 : 시멘트 사용량의 1%미만으로 사용. 시멘트의 성질 개선을 위해 사용한다. ex) AE제, 응결경�� lagomland.tistory.com 2020. 7. 20.
[건축계획] 주거단지의 교통계획 격자형 도로 : 교통을 균등 분산시키고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선형도로(Linear Road Pattern) : 폭이 좁은 단지에 유리. 양 측면 or 한 측면의 단지를 서비스할 수 있다. 도로가 특색 있는 지형과 바로 인접할 경우 비교적 가까이에서 보행자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 쿨드삭(Cul-de-Sac) : 차량의 흐름을 주변으로 한정하여 서로 연결. 차량과 보행자를 분리할 수 있다. 단지순환로가 단지 주변에 분포하는 경우 최소한 4~5m 정도 완충지를 두고 식재하는 것이 좋다. 2020. 7. 19.
[병원건축] 외과 수술실 계획 외과 수술부의 위치 외래진료부와 병동부 중간에 위치하여 쌍방의 이용이 모두 편리하게 하되, 복도에 다른 통과교통이 없게 하기 위하여 막다른 돌출부 등을 전체 수술부로 하는 것이 좋다. 수술실 바닥은 전기도체성 마감으로 한다. 외래와 병동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실내 벽재료는 녹색계통으로 마감 한다. 2020. 7. 19.
커튼 월 공사 커튼월공사 상당부분을 공장제작. 현장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높은곳에서 양중기를 사용. 비계작업이 필요없다. 커튼월부재의 간결방식으로는 슬라이드, 회전, 고정 방식이 있다. 2020. 6. 30.
트랩Trap의 봉수파괴 원인 [트랩의 봉수파괴원인] - 자기사이펀 작용 - 유인사이펀(흡인)작용 - 분출(토출) - 운동량에 의한 관성 - 모세관작용 - 증발현상 2020. 6. 3.
건축(산업)기사시험 공학용계산기 허용기종 2020. 6. 1.
도시가스 시설기준 [도시가스 사용시설의 시설기준] - 가스배관은 누출 시 환시를 위해 매립하지 않고 노출배관으로 한다. -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는 60cm 이상의 거리를 둔다. - 지상 배관은 부식방지 도장 후 표면 색을 황색으로 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가스계량기는 보호 상자 안에 설치할 경우 직사광선이나 빗물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2020. 5. 27.
[전기설비] 강전설비, 약전설비 강전설비 : 대부분의 전기 배선 변전설비, 축전지 설비, 자가발전설비, 전동기, 전열설비, 조명설비 등 약전설비 : 전기공사 이외의 설비는 대부분 약전설비. 전역으로 구분한다. 전화설비, 인터폰 설비, 전기시계 설비, 안테나 설비, 방송설비, 신호표 시장 피, 정보통신설비 등 2020. 5. 19.
[승강운송설비]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 - 에스컬레이터의 바닥 디딤판을 스텝(Step)라고 하며, 스텝체인(Step Chain)에 의해 스텝이 주행된다. - 수송능력은 엘리베이터의 약 10배 정도 - 점유면적이 작고, 기계실은 필요 없다. - 경사도는 30º 이하로 한다. - 정격속도는 하강방향의 안전을 고려하여 30m/min 이하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020. 5. 18.
[소화설비]옥내 소화전 설비 설치기준 [옥내 소화전 설비 설치기준] - 옥내 소화전 방수구는 바닥면에서 높이 1.5m 이하 - 표준 방수압력 : 0.17 MPa - 표준 방수량 : 130 ℓ/min - 설치간격 : 건물의 각 부분에서 수평거리 25m 이하 - 소화 수량 : 2.6N(㎣) (N:최대 5개) - 송수구는 소방차의 접근이 쉽게 노출된 장소에 설치한다. 2020. 5. 18.
[난방설비] 보일러 [보일러의 종류] 주 철제 보일러 - 조립식. 용량 증가에 용이. 증기용 0.1 MPa이하. 온수용 수두 50m 이하. 노통 연관 보일러 - 부하 변동의 안전성. 급수 조절에 용이. 수처리가 간단. 가동시간이 길다. 수관 보일러 - 다량의 고압증기가 필요한 병원이나 호텔에서 사용. 지역난방의 대형 원심 냉동기의 구동을 위한 증기터빈으로 사용. 입형 보일러 - 수직으로 세운 드럼 내에 연관 또는 수관이 있는 소규모 패키지형. 규모가 작은 건물이나 일반 가정용 난방. 설치면적 작음. 취급 간단. 효율이 떨어지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2020. 5. 18.
[급탕설비] 복관식 급탕배관 급탕배관 ⊃ 단관식 , 복관식 [복관식 급탕배관] -온수의 냉각을 방지하여 바로 뜨거운 물을 사용 할 수 있다. -급탕관과 반탕관이 설치된다. -저탕조를 중심으로 회로배관을 형성한다. -배관방식이 간단하다. -급탕전을 열면 잛은 시간 내에 뜨거운 물을 얻을 수 있다. 2020. 5. 18.